4대보험5 이중근로시 4대보험 국민연금 - 두 직장을 다니는 경우 각각 회사에서 비과세를 제외한 과세급여 기준으로 공제하며, 사업장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른 회사에서 근무하는 경우 지역가입보다 직장가입이 우선되므로 직장가입자 기준으로 공제함- 주된 사업장의 월 급여가 비과세금액을 제외하고 기준소득월액 초과시 다른 사업장에서의 보험료는 부과되지 않음 건강보험 - 두 직장을 다니는 경우 각각의 회사에서 비과세를 제외한 급여를 기준으로 공제하며, 사업장을 가지고 있으면서 다른 회사에서 근무하는 경우 지역가입보다 직장가입이 우선되므로 직장가입자 기준으로 공제함(국민연금과 동일)- 주 사업장에서 발급받은 건강보험증으로 사용(피부양자 포함), 다른 사업장에서는 건강보험증 발급없이 보험료만 부과 고용보험 - 하나의 사업장에서만 피보험자격을 취득할.. 2024. 12. 12. 사업장가입자자격상실신고와 이직확인서 - 건강보험 상실신고는 워킹데이 기준이 아니라 휴일 포함 14일 이내가 원칙이나 보통 익월 15일 전까지 하는 경우도 있으며 나아가 3년내 문제없이 가능하다고도 함 - 고용보험과 산재보험 상실신고는 신고사유 발생일로부터 다음달 15일까지 신고해야 하며, 신고기간이 지연되는 경우에는 과태료가 부과됨 - 국민연금과 건강보험의 경우 신고가 지연되더라도 과태료가 없는 대신 지연된 기간동안의 건강보험료가 익월에 한꺼번에 부과됨 - 퇴사 사유 발생시 4대보험 상실신고와 함께 이직확인서를 제출하게 되는데 이직확인서만 나중에 제출하는 경우 고용보험 센터로 제출해야 하고, 2020년 8월부터 제도가 변경되어 모든 근로자에 대해 작성할 필요는 없음 - 이직확인서는 직원 퇴사시 실업급여를 수급받을 퇴직 사유에 해당하는 경.. 2024. 12. 7.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취득신고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취득신고는 직장가입자 건강보험 자격취득시 피부양자 취득신고가 함께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피부양자 자격취득신고서를 작성하여 별도로 제출하면 된다. 1. 대상 피부양자 대상은 배우자, 직계존속, 직계비속, 형제자매로 배우자의 직계존속도 포함하며 형제자매의 경우 만 65세 이상, 만 30세 미만, 장애인의 요건을 충족해야 함 2. 소득 피부양자 자격취득신고가 가능한 소득요건으로 연간 소득 합계액이 2,000만원, 사업자등록을 하지 않은 사업소득자의 사업소득은 연간 합계액이 500만원 이하여야 함(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 제41조 제1항 참고) 사업자등록자는 연 사업소득이 0원이어야 피부양자 가능 3. 재산 재산의 과세표준 합계가 5억 4천만원 이하, 재산의 과세표준 합계가 5억 4천만원.. 2024. 11. 29. 신규 직원 입사시 4대보험 취득신고 개인사업장의 경우 직원이 있다면 대표자도 국민연금, 건강보험 의무 가입을 해야 하며 법인사업장의 경우에는 직원 유무 관계없이 대표자의 국민연금, 건강보험 유보수 또는 무보수로 선택 가입 가능신규로 입사한 직원은 특수관계자가 아닌 이상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모두 가입해야 함 취득신고시 필요서류 1. 사업장가입신고서(신규사업장 또는 최초로 직원이 생긴 경우) 2. 사업장가입자자격취득신고서 3. 두루누리 서류(해당 되는 경우) 4. 국민연금, 건강보험 무보수확인서(법인사업장의 대표자가 무보수인 경우 ) 더존 취득신고 업무처리 프로세스 1. 사업장등록 신규사업장 또는 4대보험 미가입사업장의 경우 최초 1회 인사급여 모듈 → 사회보험 → 사업장등록 2. 사업장가입신고서 사업장 선택시 기본정보 .. 2024. 11. 20. 개인사업자 4대보험 경비처리 방법 개인사업자는 사업장에 직원을 두지 않더라도 의무적으로 국민연금, 건강보험을 가입해야 하는데 사업장에 직원이 없다면 직장가입자가 아닌 지역가입자로 보험료를 납부하게 된다. 지역가입자로 보험료를 납부하는 것보다 직장가입자로 납부하는 것이 훨씬 유리하기에 대부분의 개인사업자가 직원을 두고 직장가입자로 보험료를 납부하곤 하는데, 사업장에 직원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납부하는 4대보험에 대한 경비는 어떻게 처리할 수 있는지 알아보려고 한다. 직원이 없는 경우 개인사업자 4대보험 경비처리 방법 직원이 없다면 사업주는 지역가입자로 국민연금, 건강보험에 의무적으로 가입하고 보험료를 납부해야 한다. 국민연금 납부액은 필요경비에 산입하지 않고 매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시 연금보험료 공제액으로 처리하는데 카드나 현금 .. 2024. 11. 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