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계관리1급

재무상태표의 작성기준

by 찰보리 2024. 12. 27.

재무상태표의 의의

재무상태표는 기업의 재무상태를 명확히 보고하기 위해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의 자산, 부채, 자본을 나타내는 정태적 보고서

 

기업의 재무상태

= 경영자본의 운용상태(자산) + 조달원천(부채와 자본)

= 기업이 지배하고 있는 경제적 자원(자산) + 그 자원에 대한 채권자와 주주의 청구권(부채와 자본)

 

 

재무상태표의 작성기준

(1) 구분표시

서로 충분히 다르거나 중요한 항목들은 재무상태표에 서로 구분하여 표시해야 한다. 먼저 자산, 부채, 자본으로 구분하고, 다시 자산은 유동자산 및 비유동자산으로, 부채는 유동부채 및 비유동부채로, 자본은 자본금, 자본잉여금, 자본조정,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으로 구분한다. 

 

(2) 총액표시 

자산과 부채는 총액에 의하여 기재함을 원칙으로 하고 자산의 항목과 부채의 항목을 서로 상계함으로써 그 전부 또는 일부를 재무상태표에서 제외하여서는 아니된다.

 

(3) 1년 기준

① 자산과 부채는 1년을 긱준으로 하여 유동자산 또는 비유동자산, 유동부채 또는 비유동부채로 구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② 재고자산, 매출채권 및 매입채무 등 운전자본과 관련된 항목들에 대하여는 1년을 초과하더라도 정상적인 영업주기 내에 실현 혹은 결제되리라 예상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유동으로 분류한다. 

③ 1년을 초과하는 유동자산, 유동부채 금액은 주석으로 기재한다. 

 

(4) 유동성배열법

재무상태표에 기재하는 자산과 부채의 항목 배열은 유동성이 높은 순으로 배열한다. 

 

(5) 잉여금의 구분

① 자본거래에서 발생한 자본잉여금과 손익거래에서 발생한 이익잉여금을 혼동하여 표시하여서는 안된다. 

② 자본잉여금은 주식발행초과금과 기타자본잉여금으로 구분표시한다. 

③ 이익잉여금은 법정적립금, 임의적립금 및 미처분이익잉여금(또는 미처리결손금)으로 구분표시한다. 

 

(6) 미결산 항목 및 비망계정의 표시금지

가지급금 또는 가수금 등의 미결산 항목은 그 성질을 나타내는 적절한 과목으로 표시하고 대조계정 등의 비망계정은 재무상태표의 자산 또는 부채 항목으로 표시하여서는 안 된다. 

'회계관리1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제표 기본 요소의 인식과 측정  (2) 2024.12.26
재무정보의 질적특성  (2) 2024.12.18
재무보고의 목적, 국제회계기준  (5) 2024.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