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가율이란?
부가율은 부가가치 창출을 알아볼 수 있는 평가지표로써 '(매출액 - 매입액) / 매출액' 공식으로 산출하며 고정자산 관련 매출, 매입에 대한 금액은 부가율 산출시 제외한다.
사업자가 업종별 평균 부가율보다 과도하게 낮은 부가율로 부가세신고를 하게되면 매출누락, 가공 매입세금계산서 과대 계상, 재고 누적 등을 사유로 하여 불성실신고대상자로 추정될 수 있다. 반대로 부가율이 높게 나오는 경우는 사업이 잘 되고 있다는 증거로 마진율이 높은 편이라고 보면 된다.
부가율이 낮게 나오는 경우
1. 매입이 과다 계상된 경우 : 가공매입 및 가사경비 포함 가능성
2. 매입이 정상인 경우 : 매출 누락 추정
3. 신용카드 비율이 평균보다 낮은 경우 : 현금매출 누락 가능성
4. 의제매입세액 비율이 평균보다 높은 경우 : 가공매입 또는 가사경비 포함 가능성
업종별 평균 부가율
1. 전기, 가스, 수도사업 : 5%
2. 소매업, 재생용 재료수집 및 판매업, 음식점 : 10%
3. 제조업, 숙박업, 농림어업, 운수업, 통신업 : 20%
4. 건설업, 부동산임대업, 그 밖의 서비스업 : 30%
인건비 위주인 서비스업의 경우 일반 업종에 비해 매입자료가 적은 편이기 때문에 부가세 납부에 대한 부담이 높을 수 있으나 추후 결산(법인세 및 소득세) 신고시 인건비를 경비로 차감하기 때문에 이익은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 부가율이 높다고 이익이 높은 것은 아니다.
소득율이란?
총매출에서 소득금액이 차지하는 비율로 '(소득금액 / 총매출) * 100' 공식으로 산출하며, 소득금액은 '총매출 - 인건비 및 각종 경비', '매출액 * (1-경비율)' 로 구한다. 소득율은 과세관청에서 소득금액 적정성 및 사업자의 소득세 신고와 성실도를 판단하는 지표로써 소득율이 낮다면 현금매출 누락과 가공경비 과다를 의심할 수 있다.
'부가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가세 신고서 분개방법 부가세 상계처리 (0) | 2024.12.07 |
---|---|
주사업장총괄납부와 사업자단위과세 (1) | 2024.11.04 |
상가주택 공통매입세액 안분 (0) | 2024.10.12 |
수출(직접수출)이 있는 경우 부가세 신고 프로세스 (3) | 2024.10.10 |
부가세신고시 수입신고필증 분개 (2) | 2024.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