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무실무 - 원천세2

2025년 포괄임금제 유효요건, 임금명세서 작성, 연장수당 리스크 포괄임금제는 연장근로수당, 야간수당을 급여에 포함해 일괄 지급하는 방식이지만 무조건 허용되는 제도는 아닙니다. 2025년 근로기준법과 판례를 기준으로 포괄임금제의 유효요건, 근로계약서 문구, 급여명세서 작성 시 유의사항을 총정리합니다. 포괄임금제는 연장·야간·휴일근로수당을 별도로 산정하지 않고 월급에 포함하여 지급하는 임금제도입니다. 그러나 모든 사업장에서 이를 도입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실무에서 자주 마주하는 포괄임금제의 유효요건과 작성 실무, 과태료 리스크까지 정리했습니다. 포괄임금제란?연장근로, 야간근로, 휴일근로수당을 별도 계산하지 않고 급여에 미리 포함하는 방식정액급제, 정액수당제 등으로 구분됨 유효한 포괄임금제의 조건1. 근로시간 산정이 어려운 업무여야 함기상에 따라 작업시간이 바뀌는.. 2025. 7. 9.
일용직급여자료입력 소득세 계산(소액부징수) 일용직급여자료입력에서 일당이 동일한 두 일용직 사원중 A사원에게는 소득세 산출이 되고, B사원에게는 소득세가 산출되지 않는 현상 → 일당에 대한 소득세가 소액부징수에 해당하는지 확인 **소액부징수 - 소득세 또는 법인세의 원천징수에 있어서 당해 세액이 1,000원 미만인 때에는 원천징수를 하지 아니함 (다만, 거주자에게 지급되는 이자소득의 경우 당해 소득에 대한 원천징수세액이 1,000원 미만이더라도 원천징수를 하여야 함) - 일용근로자에게 일당을 한꺼번에 지급하는 경우 소득자별 지급액에 대한 원천징수 세액 합계액을 기준으로 소액부징수 대상 여부 판단일당 170,000원인 일용직 사원이 5일 근무한 경우 급여지급방법에 따른 일용직 소득세 계산   1. (170,000-150,000)x2.7%=540원 일.. 2024. 11. 4.